천초는 산초, 초피, 제피등 다양한 이명이 있습니다. 흔히 추어탕에 넣는 제피가루가 이것입니다. 참고로 방아는 배초향 즉 곽향인데 방약합편에 화초로 등록되어 있어서 그런지 화초란 말에 익숙합니다. 냇가에서 나는 것을 川椒라 하고 산에서 나는 것을 山椒라고 구분하기도 한다는데 확인되진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역, 중국의 남부에서 주로나고 8-10월경 채취합니다. 본초학 책에 보면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이 두가지 나무의 열매껍질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천초와 산초는 나무도 잎도 똑같지만 열매를 먹어보면 맛이 다릅니다. 천초는 톡쏘는 맛이 강하여 약으로 쓰고 산초는 쏘는 맛이 덜하여 양념으로 쓴다고 하네요. 산초는 또 기름을 짜 쓰기도 하였습니다. 수입이 국산보다 좀 더 빨갛게 보입니다.

한방에서는 열매의 껍질을 치한(治寒)·거비폐사(鑒脾肺邪)·골통(骨痛)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사용하고 회충의 구충제로도 이용한다. 민간에서는 가지를 달인 물에 찹쌀을 넣고 죽을 끓여 이것을 동상부에 붙여서 치료한다. 새 잎은 채취하여 음지에서 말린 다음 국 등의 음식에 넣어서 먹고 열매와 종자는 가을에 채취하여 가루를 내어 향신료로 사용한다. 특히 추어탕을 비롯한 민물고기 요리에 넣어 맛을 돋운다. 또한 초피나무의 열매에는 강한 방향성 물질이 있어서 소주에 넣으면 프랑스술 페노드와 같은 효과를 내어 향기롭다.
약성 :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며 독이 있다.[辛溫有毒]
효능 : 온중지통(溫中止痛), 지사(止瀉),살충(殺蟲)
①비위(脾胃)에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구토,설사를 일으킬 때 쓰인다. ②치통에 달인 물로 양치질을 하거나 환부에 붙여서 치료한다. ③폐신(肺腎)이 허약하고 차서 천식을 일으키거나 요통과 다리가 얼음장같이 찬 증상에 쓰인다. ④살충작용이 있어 회충을 구제하고,옴이나 버짐, 부인의 음부가려움증, 남자의 음낭습진 등에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한다. ⑤종자(초목)는 이뇨작용이 있으므로 몸이 부었을 때 쓰이며, 천식을 가라 앉힌다.
약리작용 : 국부마취작용, 장관연동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